2012.08.16 10:25
제1부 도의 신학의 배경 - 유교 문화와 그리스도교 신학의 만남
제1장 | 우리 신학을 찾아서
1. 우리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서
2. 한국 개신교 신학에 대한 비판적 대안
3. 우리 신학을 향하여
제2장 | 그리스도교의 효(孝)사상
1. 들어가는 글
2. 구약성경의 효사상
3. 신약성경의 효사상
4. 부모의 자녀에 대한 사랑
5. 삼위일체 하느님과 부자유친
제3장 | 양명학을 통해 본 신학: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와 그리스도교 간의 대화
1. 근본적 상이성 안에서의 두터운 유사성(異中同)
2. 공동적 인간성의 도(道)에 대한 추구
3. 인간성의 도(道)로서의 예수 그리스도: 유교적 그리스도론을 향하여
4. 새로운 우주적 인간성의 도(道)
5. 맺는 말
제4장 | 한국 신학 50년과 도의 신학: 한국 조직신학 사상사
1. 들어가는 말
2. 한국 신학의 광맥: 박형룡, 김재준, 정경옥, 류영모
3. 교회교의학 모형: 교회의 분열
4. 정치신학 모형: 민중신학의 출현
5. 문화신학 모형: 토착화 논쟁
6. 구성신학 모형: 도의 신학
7. 맺는 말
제2부 도의 신학 서설 - 한국적 신학 패러다임의 모색
제5장 | 도(道)의 신학 서설
1. 현대 신학의 3대 모형
2. 우리 신학의 구성: 도(道)의 신학
제6장 | 도(道) 그리스도론(Christotao) 서설
1. 현대 그리스도론의 화두
2. 도(道):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새로운 근본 은유
3. 도-그리스도론에 대한 한국적 전거들
4. 신-인간-우주적 도(道)로서의 예수 그리스도
제7장 | 도(道) 삼위일체론 서설
1. 서론: 삼위일체론의 동양화(Easternization)
2. 유교와 도교의 통찰들
3. 동아시아적 삼위일체론: 유교-도교적 관점에서 재조명
4. 검토와 결론
제8장 | 생명 · 생태계의 위기와 도의 신학
1. 들어가는 말
2. 하늘땅사람: 신-우주-인간적 비전
3. 하늘땅사람의 참길(신-우주-인간적 묘합): 도의 신학
4. 아! 숨님의 솟구침: 억눌린 생명의 기사회우주전기
5. 맺는 말
6. 후기
제3부 도의 신학과 자연과학 - 신학 · 동양 종교 · 자연과학의 삼중적 대화
제9장 | 종교와 자연과학 간의 대화를 통해 본 인간: 사회생물학의 도전과 종교적 대응
1. 들어가는 말
2. 자연과학과 종교 간의 관계
3. 사회생물학의 도전
4. 사회생물학에 대한 종교적 대응
5. 맺는 말
제10장 | 사이버 공간의 본질과 영성, 그 종교적 대안
1. 사이버 공간(cyberspace)의 출현
2. 사이버 공간과 장자의 꿈: 이 시대의 화두
3. 사이버 공간의 본질: “탐구의 성배”
4. 사이버 공간: 또 하나의 바벨탑?
5. 사이버 공간에서의 종교의 역할: 틈의 성화론
제11장 | 생명의 존엄성: 인간 배아줄기세포 논쟁과 경(敬)의 신학
1. 생명의 정치해석학: 오늘날의 화두
2. 배아는 생명인가?
3. 인간의 존엄성이란?
4. 인간이란?
5. 존경이란?
6. 나가는 말: 경(敬)의 신학을 향하여
제12장 | 도의 신학과 자연과학: 자연과학, 동양 종교, 그리스도교 신학 간의 삼중적 대화
1. 상황(Context): 아시아 그리스도교(Asian Christianity)
2. 방법론: 겸허의 삼중적 대화(Trilogue of Humility)
3. 내용(Contents): 몇 가지 예비적인 제안들
부록
1. 나는 왜 신학자가 되었는가? - 신학자가 된 우주항공학도의 고백
2. 통섭론을 반대한다 - 한국 윌스니언의 오류들
3. 도올 김용옥의 그리스도교 비판에 대한 소고
4. 김용준, 『과학과 종교 사이에서』 서평
출판사 서평 위로
‘한국 신학’, ‘아시아 신학’, ‘우리 신학’ 등에 천착해온 김흡영 교수가 쓴 『도의 신학』 두 번째 책이다. 저자는 지금까지 기독교를 지배해오던 교리 위주의 전통적 로고스 신학(theo-logos)과 그 안티테제인 실천운동 위주의 근대적 프락시스 신학(theo-praxis) 사이의 이원화를 넘어선 새로운 통전적 신학 패러다임으로 유교-기독교적 시각에 입각한 도의 신학(theo-tao)을 주장한다. 또한 첨단 과학시대를 살고 있는 동북아의 상황을 바라보며, 현대 과학과 종교의 학제 간 대화 및 기독교와 동양 종교(특히 유교 및 도..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17 | (복간)다석중용강의 | 관리자 | 2024.11.17 | 55 |
16 | 다석일지1,2,3,4 | 관리자 | 2024.08.29 | 251 |
15 | [복간]다석 류영모 명상록 | 관리자 | 2022.08.22 | 2432 |
14 | [신간]저녁의 참사람-다석 류영모평전 | 관리자 | 2021.09.07 | 4378 |
13 | [신간]제나에서 얼나로 | 관리자 | 2019.10.27 | 11324 |
12 | [신간]가온찍기 | 관리자 | 2013.06.26 | 634540 |
11 | 다석전기-류영모와 그의 시대 | 관리자 | 2012.11.19 | 150515 |
» | 도의 신학 Ⅱ | 관리자 | 2012.08.16 | 184258 |
9 | 하루를 일생처럼-다석귀천 30주기 기념 추모문집 | 관리자 | 2011.03.16 | 181354 |
8 | 공자가 사랑한 하느님-류영모저 박영호 풀이 | 관리자 | 2010.11.11 | 146869 |
7 | [신간]다석 마지막 강의 | 관리자 | 2010.05.06 | 158308 |
6 | [신간]신화를 벗은 예수 | 관리자 | 2009.11.25 | 147630 |
5 | [신간]나는 다석을 이렇게 보았다. | 관리자 | 2009.11.17 | 151107 |
4 | 정양모 신부 저서 소개 [2] | 관리자 | 2009.06.08 | 161658 |
3 | [신간]없이 계신 하느님 덜없는 인간 | 관리자 | 2009.03.12 | 150012 |
2 | 다석 유영모 | 관리자 | 2009.02.23 | 146456 |
1 | [신간]다석 류영모 | 관리자 | 2009.02.22 | 143714 |